이번에는 동작(Action) 옆의 조정(Adjustments) 기능에 대하여 하나씩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색조, 채도, 밝기(Hue, Saturation, Brightness)
먼저 수정할 레이어의 이미지를 선택한 후 조정에서 색조, 채도, 밝기를 선택합니다. 그러면 오른쪽 이미지처럼 상단에 레이어, 펜슬 2가지 중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이 보입니다. 레이어를 누르게 되면 레이어에 전체적인 효과를 적용하게 됩니다. 펜슬을 누르게 되면 내가 그린 부분만 부분적으로 효과를 적용하게됩니다. 레이어를 누르면 화면 하단에 색상을 조정할 수 있는 슬라이드 바가 나타납니다. 모든 기준은 50%가 원래의 색상값입니다. 만약 펜슬 부분을 선택하게 된다면 색조(Hue) 부분이 30%로 바뀌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 상태에서 브러쉬로 그림을 그리게 되면 30% 정도 변경된 색조가 나옵니다. 아래 그림처럼 왼쪽 신발에 브러쉬로 색을 칠했더니 색상이 달라진 걸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이 상태에서도 아래 세개의 슬라이드 바 수치를 조정하면 또 다른 색상이 적용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색상 균형(Color Balance)
이 기능에서도 마찬가지로 선택 후 레이어와 펜슬 기능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직전 선택한 색상, 채도, 밝기 기능 창에서 나타났던 슬라이드바와 조금 다른 기준의 슬라이드바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잉크의 4원색인 CMYK버전으로 색상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C는 청록색, M은 자홍색, Y는 노랑색이어서 그 색상들을 기준으로 색조, 채도, 명도를 조절할 수 있게 나와있는 것입니다. 이 부분은 작업 용도에 따라 편리한 기능을 선택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곡선(Curves)
곡선 기능은 선의 위치 조절을 통해 밝기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위쪽으로 갈수록 밝아지고 아래쪽으로 갈 수록 어두워지는 형태입니다. 그래서 그래프 곡선을 잡고 위로 끌어당기면 밝아지고 아래쪽으로 끌어당기면 진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곡선 위에 클릭을 통해 점들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추가된 점에서도 부분적으로 조정이 가능합니다. 한 번 더 터치를 하면 삭제도 가능합니다.
변화도 맵(Gradient Map)
변화도 맵은 그라데이션이라고 생각하면됩니다. 기능을 누르게 되면 아래 여러 그라데이션 맵을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하나하나 눌러보면서 어떤 느낌인지 직접 확인해보면 됩니다. 선택한 맵에 따라 그 색상들로 이미지에 덮어 씌워집니다. 하단에 보이는 그라데이션 맵 오른쪽에 +버튼을 누르면 내가 원하는 색상의 그라데이션을 만들 수도 있습니다.
가우시안 블러(Gradient Map)
가우시안 블러의 흐림 효과는 슬라이드 바에서 조절할 수 있습니다. 왼쪽 끝이 0이고 오른쪽 끝이 100입니다. 슬라이드에 손가락을 올려 조절하면 효과가 적용되고 있는 수치가 변화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오른쪽 끝으로 가면 갈수록 완전히 흐려져서 형태를 알아보기 어렵고, 0에 가까운 왼쪽으로 가면 갈수록 이미지가 선명해집니다.
모션 블러(Motion Blur)
모션 블러는 마치 물체가 이동하는 것처럼 보여지는 효과가 있습니다. 가로로 이동하게 되면 가로로 이동하는 것처럼 보여지고 대각선으로 움직이면 대각선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처럼 보여집니다. 위에서 아래로 슬라이드를 할 수도 있고 내가 원하는 방향으로 모션 블러를 적용해 볼 수 있습니다.
투시도 블러(Perspective Blur)
투시도 블러는 똑같이 슬라이드 바로 조절을 하는데 가운데 점이 생깁니다. 먼저 흐림 효과를 조금 준 다음 원을 이동해보면 원을 기준으로 따라다니며 흐림효과가 적용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 하단의 방향성 버튼을 누르면 원 안에 삼각형 모양의 방향을 가르키는 모양이 생깁니다. 그래서 원의 방향과 삼각형의 방향을 어떻게 설정하느냐에 따라 흐림 효과를 다양하게 적용시킬 수 있습니다.
노이즈(Noise)
노이즈 기능을 눌러보면 구름, 소용돌이, 산둥성이 3가지의 메뉴가 나옵니다. 비율이 커질 수록 질감 형태가 거칠게 보이는 효과가 있습니다. 이 기능들은 각각 눌러보면서 어떤 느낌인지를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선명 효과(Sharpen)
선명 효과를 누른 뒤 오른쪽으로 슬라이드를 하면 점점 선명해지는데 확대해서 자세히 들여다 봐야 각각 경계 부분에 색깔이 구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빛 산란(Bloom)
이 기능은 밝은 부분에 하이라이트를 적용시킬 수 있는 기능인데 오른쪽으로 슬라이드를 해서 산란 값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레이어를 선택하여 밝은 부분이 조금 더 빛나는 효과가 만들어지고 아래 전환효과, 크기, 번을 통해 내가 원하는 정도의 효과를 적용시킬 수 있습니다. 펜슬을 선택하여 그림에 적용하면 내가 브러쉬로 그린 부분만 밝아지는 효과가 생깁니다.
글리치(Glitch)
이 기능은 약간 지지직 거리는 효과를 주는데 사용합니다. 메뉴로는 인공결함, 파도, 신호, 분기가 있습니다. 각각의 기능을 누르고 슬라이드를 적용시켜보면서 어떤 느낌인지 알아두면 됩니다.
하프톤(Halftone)
하프톤은 점을 이용해서 이미지를 표현하는 방법입니다. 슬라이드를 통해 기능을 적용해보면 이미지를 여러 점이 모여 표현한 모양으로 보여집니다. 신문 기능은 흑백 기능이 적용됩니다.
색수차(Chromatic Aberration)
이미지들은 색깔이 RGB를 통해 표현되어 있는데 메뉴에서 옮겨놓기를 누르고 슬라이드를 하면 RGB의 색상모드가 분리되어 나타납니다. 빨강, 초록, 파랑이 합쳐져서 이 이미지가 되었다는 것을 보여주는데 이렇게 분리해서 이런 모양의 효과들을 만드는데 쓰입니다.
'✍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크리에이트 클리핑 마스크, 알파 채널 잠금, 손가락 터치 기능 (0) | 2023.09.10 |
---|---|
아이패드 기종별 사양과 캔버스 이해 (0) | 2023.09.09 |
프로크리에이트 레이어와 편집 기능 알기 (1) | 2023.09.08 |
프로크리에이트 컬러 설정과 손가락 터치 기능 (0) | 2023.09.07 |
프로크리에이트 브러쉬 종류와 컬러 (0) | 2023.09.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