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정보

프로크리에이트 브러쉬 종류와 컬러

by mangrim 2023. 9. 7.

이 번에는 프로크리에이트의 브러쉬 기능에 대해 살펴볼까합니다. 프로크리에이터 어플 자체적으로 많은 브러쉬들이 담겨 있어 다양한 그림을 그리는데 유용합니다. 또한 직접 커스텀하여 브러쉬를 제작할 수도 있습니다. 나만의 브러쉬를 만들어 그림을 그릴 수도 있기 때문에 그리는 재미를 더해 주는 것 같습니다.

 

BRUSH

우선 오른쪽 맨 앞 쪽에 있는 붓 모양의 브러쉬 버튼을 눌러봅니다. 그림을 시작하기 전 브러쉬의 종류를 하나하나 체험해 보는 것도 좋은 경험입니다. 프로크리에이트 자체적으로도 어마어마한 양의 브러쉬를 보유하고 있어 그리는 재미가 있습니다. 각 카테고리별로 브러쉬를 선택하면서 선을 그어보세요. 그림을 시작하기 전 브러쉬를 익히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또한, 내가 마음에 드는 브러쉬를 찾아보시기 바랍니다. 브러쉬를 살펴보는 것은 꼭 필요한 시간입니다. 프로크리에이트의 브러쉬 중 실제 그림을 그리는 것과 매우 유사한 몇 가지를 소개합니다. 먼저 스케치 카테고리의 6B연필을 선택해봅니다. 

실제로 연필을 사용하여 그림을 그릴 때에 연필을 세워서 그림을 그리면 가늘고 날카롭게 그림이 그려지는 반면 연필을 눕혀 심이 바닥에 많이 닿을 수 있게 하여 그림을 그리면 선이 넓게 그려지는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신퉁방퉁한 애플 펜슬도 실제와 같이 그러한 기능이 적용됩니다. 아래 사진처럼 펜슬을 세워서 그림을 그리면 얇게 표현이 되고 펜슬을 눕혀 그리게 되면 넓고 러프하게 그려지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프로크리에이트 브러시 느낌 알아보기

애플 펜슬은 필압(누르는 압력의 정도)에 따라서도 선의 형태를 잘 표현하는데 프로크리에이트의 브러쉬 중에도 필압을 잘 나타내는 브러쉬들이 몇 가지 있습니다. 이 중에서도 서예(Calligarphy)의 스크립트(Script) 브러쉬를 살펴보겠습니다. 필압에 따라 반응하는 이 브러쉬는 힘을 주어 긋게 되면 두껍게 힘을 빼고 선을 긋게 되면 얇은 선이 그어집니다.

프로크리에이트 브러시 차이 확인

미술 재료에는 건식 재료와 습식 재료가 있는데 그 재료들의 성질을 브러쉬에 비슷하게 적용해 놓은 것들이 많이 있습니다.

잉크 카테고리의 마커 브러쉬는 한 번 긋고 그 위에 선을 긋게 되면 겹쳐지는 부분이 보입니다. 실제로도 마커는 물기를 많이 머금고 있기 때문에 겹쳐서 그림을 그리게 되면 겹쳐지는 부분이 보여집니다. 그런데 프로크리에이트의 마커 브러쉬도 이러한 특징을 잘 표현하여 디지털 드로잉에서도 마커의 특징을 잘 표현할 수 있답니다. 이렇듯 각 브러쉬 별로 특징이 다르기 때문에 세워서도 그려보고 눕혀서도 그려보고 겹쳐서도 그려보면서 브러쉬의 특성을 잘 살펴보시면 마음에 드는 브러쉬도 찾고, 다양한 그림을 그리는 즐거움을 느낄 수 있습니다.  

브러쉬를 살펴보다 마음에 드는 브러쉬들이 생기면 따로 모아 카테고리화 할 수 있습니다. 아래 사진의 +버튼을 눌러 이름을 정하고 카테고리를 만들어 내가 마음에 드는 브러쉬들을 복사하여 가져다 넣을 수 있습니다. 원본 브러쉬를 손가락으로 길게 누르면 +표시가 뜨는데 길게 누른채로 끌어다 나만의 카테고리에 올려두면(Drag&Drop) 됩니다. 저는 만스 브러쉬라는 카테고리를 만들어 자주 쓰는 브러쉬들을 모아 잘 사용하고 있습니다.

프로크리에이트 브러시 라이브러리

문지르기 

브러쉬 오른쪽에 손가락 모양의 기능이 있습니다. 이 기능은 문지르기 기능인데 미술도구인 파스텔 도구 등으로 먼저 색칠한 뒤 손가락 또는 휴지 등을 사용하여 문지르면 색이 옆으로 엷게 퍼져나가는 것을 떠올리시면 됩니다. 이 기능도 역시 선택한 브러쉬의 특성에 따라 문지른 뒤의 효과가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여러 브러쉬들을 선택하여 한 번씩 문질러 보면 어떤 그림 효과가 적용되는지 쉽게 익혀볼 수 있습니다. 또한 그라데이션을 표현할 때도 매우 유용하게 쓰이는 기능입니다.

프로크리에이트 문지르기 기능

지우개

문지르기 옆의 지우개 모양의 지우개도 다양한 브러쉬를 선택하여 여러 형태의 지우기 효과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원하는 느낌의 브러쉬를 선택한 후 지우개 기능을 잘 활용하면 됩니다.

컬러(디스크, 클래식, 하모니, 값, 팔레트)

기능 가장 오른쪽의 동그란 아이콘이 바로 색상을 선택하는 컬러툴입니다. 첫 번째 동그란 모양의 디스크를 눌러보면 바깥쪽 링에서 원하는 색상을 고를 수 있고 가운데 안쪽의 원에서는 선택한 색상의 채도와 명도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두 번째 클래식에서는 큰 네모창 안에서 명도와 채도를 고를 수 있고 하단의 첫 번째 라인의 슬라이드를 통해 색상을 고를 수 있습니다. 두 번째 라인에서는 채도, 세 번째 라인에서는 명도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프로크리에이트 색상 명도 조절

 

다음으로 하모니에서는 조금 특이한 방법으로 색상을 고를 수 있습니다. 먼저 색조와 채도를 고를 수 있는 원이 보이고 하단에는 명도를 조절할 수 있는 슬라이드 바가 보입니다. 그리고 색상이라는 글자 아래 사합(Complementary)을 눌러보면 보색(Complementary), 보색 분할(Split Complementary), 유사(Analogous), 삼합(Triadic), 사합(Tetradic)의 5가지 기능이 있습니다. 보색을 누르면 내가 선택한 색의 보색을 안내해줍니다. 이 기능은 그림을 그리다가 보색을 빨리 확인하고 싶을 때 매우 유용합니다. 보색을 누르고 유사를 눌러보면 내가 선택한 색과 유사한 2가지의 톤을 동시에 안내해줍니다. 삼합은 색상 원을 3등분 하여 같은 위치에 있는 3개의 색상을 안내해줍니다. 사합은 이 색상원을 4등분하여 4개의 색상을 안내해주는 기능입니다. 네 번째의 값을 눌러보면 RGB의 숫자에 색상값을 입력하여 설정할 수 있습니다. 16진값으로 코딩 때에 쓰이는 색상 값을 입력할 수도 있습니다. 디스크, 클래식, 하모니, 값의 기능 안에는 내역이라는 기능이 있어 내가 선택했던 색상값이 차례대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지우기를 누르면 지울 수도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가장 우측에 있는 팔레트를 눌러보면 기본으로 제공하는 3개의 팔레트가 있습니다. 이 팔레트 외에도 오른쪽 상단의 +버튼을 누르면 새로운 팔레트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팔레트를 생성하면 기본 팔레트로 설정이 되는데 디스크를 눌러보면 기본 팔레트가 들어와 있는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 팔레트에도 추가로 색상을 클릭하여 끌어다 놓으면 팔레트에 색상이 추가되는 기능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